2025-04-04 02:31:37   by test / hit 3

30% △인도 26% △한국 2

남아프리카 30%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EU(유럽연합) 20% △영국 10% △브라질 10%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상호관세율발표 전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언급하며 "한국, 일본과 다른 매우 많은 나라가 부과하는 모든 비(非)금전적 (무역.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특히 한국이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대미 수출 경쟁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상호관세율을 적용받으면서 한국은 수출은 물론 경제 전반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美와 FTA 체결 상대국 중 가장 높은 26% 책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각국에 대한상호관세율을 발표하고 있다.


그가 든 패널에 한국에 대한관세율은 25%이지만 백악관 홈페이지에 올라온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상호관세율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정부가 미국이 부과한상호관세율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s://www.nahaengdong.co.kr/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발표한 연설에 따르면 한국에 대한.


행사에서 국가별상호관세율이 적힌 패널을 들고 설명하고 있다.


3일(한국시간)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 및 행정명령 서명을 마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화관세.


상대국의 실제 대미 수입관세율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


주먹구구식이라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


그간 트럼프 행정부는상호관세율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다른 나라가 미국에 적용하는 관세는 물론이며 각종 규제와 세제 등 미국 기업의 수출을 방해하는 모든 무역.


한국 등 국가별상호관세 부과를 확정·발표하면서 수출 비중이 절대적인 우리 경제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특히 한국의상호관세율(26%·백악관 발표 기준)이 미국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상대국 중 최고라며 해외에서조차 ‘가혹하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곤경에 빠진 것은 일차적으로 지난해 한국이 대미 무역 흑자를 너무 많이 늘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각국상호관세율을 산정할 때 자체 계산한 해당 국가 관세를 기준으로 삼았는데 한국의 대미 관세를 50%라고 산정했다.


한미 FTA 때문에 사실상.